이펙티브 오라클 (2009년)
파티셔닝 이용 시기 0 0 73,177

by 구루비스터디 파티션 Partition 파티션테이블 파티셔닝 [2018.05.26]


  1. 1. 파티셔닝의 개요
    1. 1.1. 파티셔닝이란?
    2. 1.2. 파티셔닝 사용의 이점
  2. 2. 파티셔닝 테이블
    1. 2.1. 오라클 버전별 지원되는 파티셔닝 기법
    2. 2.2. Range Partition
    3. 2.3. Hash Partition
    4. 2.4. List Partition
    5. 2.5. Composite Partition
    6. 2.6. Reference Partitioning
    7. 2.6. Inerval Partitioning
    8. 2.7. System Partitioning
    9. 2.8. 파티셔닝 테이블의 유용한 기능
    10. 2.9. Partition Table 관련 Dictionary View
  3. 3. 파티셔닝 인덱스
    1. 3.1. Global or Local Partitioned Index
    2. 3.2. Prefixed or Non-prefixed index
    3. 3.3. Index Partitioning의 종류
    4. 3.4. Index Type and Partitioning
    5. 3.5. Index Partiton Status
    6. 3.6. Index 관련 Data Dictionary Views
  4. 4. 상황에 따른 파티셔닝 기법의 선택
    1. 4.1. Partition 방식의 선정
    2. 4.2. 업무 영역에 따른 Partition 구성
    3. 4.3. Partition 개수의 선정
    4. 4.4. Partition Key 선정
    5. 4.5. 파티셔닝 방법의 선택 요약


1. 파티셔닝의 개요

1.1. 파티셔닝이란?

  • Oracle V8.0에서 도입
  • 큰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관리하기 쉬운 조각으로, 물리적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함
  • 물리적인 데이터 분할이 있더라도, DB에 접근하는 Application의 입장에서는 이를 인식하지 못함
  • Data Partitioning은 큰 테이블과 인덱스의 관리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해 설계됨


1.2. 파티셔닝 사용의 이점

가용성(Availability)
  • 물리적인 Partitioning으로 인해 전체 데이터의 훼손 가능성이 줄어들고 데이터 가용성이 향상된다.


관리용이성(Manageability)
  • Data-Base의 큰 객체들을 제거하여 관리를 쉽게 해줌


성능(Performance)
  • 특정 DML과 Query의 성능을 향상시킴, 주로 대용량 DW 환경에서 효율적
  • 많은 Insert가 있는 OLTP 시스템에서 Insert 작업들을 분리된 파티션들로 분산시켜 경합을 줄임 (Hot spot 을 분산)


2. 파티셔닝 테이블

2.1. 오라클 버전별 지원되는 파티셔닝 기법


2.2. Range Partition

  • 날짜 기준 Partition
  • 일별, 월별, 분기별 등 의 데이터에 적합
  • Historical Data Table에적합 한 Partitioning
  • 손쉬운 관리 기법 제공 에 따른 관리 시간의 단축


일반적인 Range Parition

CREATE TABLE part_range (
      ymd VARCHAR2(14),
      empno NUMBER
)
TABLESPACE tbs_part01
PARTITION BY RANGE (ymd) (
      PARTITION p200908 VALUES LESS THAN ('20090901000000')
      TABLESPACE tbs_part05,
      PARTITION VALUES LESS THAN (MAXVALUE)
);


  • ymd 에 의해서 범위 분할 이 이루어진다.
  • P200908 파티션과 SYS_Pnnnn 이렇게 두 개의 파티션이 생성된다.
  • Partition p200908에는 20090901000000 보다 작은 값들이 모두 저장된다.
  • 20090901000000보다 큰 값들은 SYS_Pnnnn 에 저장된다.


multicolumn Range Partition
  • Range Partition을 이용하여 좀더 세분화된 분류 를 원할때 사용된다.
  • Partition-Key에 열거된 순서가 중요하며, 2번째 키 값첫 번째 키 값이 동일할 경우 비교 된다.

CREATE TABLE multi_part (
   unit  NUMBER(1), subunit CHAR(1)
)
   PARTITION BY RANGE ( unit, subunit ) (
    PARTITION P_2b VALUES LESS THAN (2,'B'),
    PARTITION P_2c VALUES LESS THAN (2,'C'),
    PARTITION P_3b VALUES LESS THAN (3,'B'),
    PARTITION P_4x VALUES LESS THAN (4,'X') 
);



2.3. Hash Partition

  • Partition Key의 Hash값에 의한 Partitioning (균등한 데이터 분할 가능)
  • 좋은 분포도를 얻기 위해선 2의 제곱수로 Partitioning 하는것이 좋다.
  • Select시 조건과 무관하게 병렬 Degree 제공 (질의 성능 향상)
  • 특정 Data가 어느 Hash Partition에 있는지 판단 불가
  • Hash Partition은 파티션을 위한 범위가 없는 데이터에 적합


Hash Partition - Named Partitions

CREATE TABLE part_hash (
  empno NUMBER(4),
  empname VARCHAR2(20)
)
PARTITION BY HASH (empname) (
  PARTITION p_h1 tablespace tbs_part01,
  PARTITION p_h2 tablespace tbs_part02
);


  • Partition할 column과 파티션의 이름을 직접 기술 할 수 있다.
  • 파티션의 수는 2의 제곱수 만큼 지정을 해준다.
  • 파티션의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SYS_Pnnnn 형태로 자동 지정된다.


Hash Partition - Quantity of Partitions

CREATE TABLE part_hash2 (
  empno NUMBER(4),
  empname VARCHAR2(20)
)
PARTITION BY HASH (empname)
PARTITIONS 4
STORE IN (tbs_part03, tbs_part04);


  • 생성하고자 하는 파티션의 수를 기술 해 준다.
  • 파티션의 수는 2의 제곱수 만큼 지정 을 해준다.
  • 파티션의 이름은 SYS_Pnnnn 형태로 자동 지정 된다.
  • 4개의 파티션은 STORE 절에 기술된 TABLESPACE에 균등하게 생성 된다.


2.4. List Partition

  • 특정 Partition에 저장 될 Data에 대한 명시적 제어 가능
  • 분포도가 비슷 하며, 많은 SQL에서 해당 Column의 조건이 많이 들어오는 경우 유용
  • Multi-Column Partition Key 제공 불가
  • Partition key 값 은 NULL 값을 포함한 어떠한 값이라도 한번만 명시 가능
  • 대소문자를 구분 함, 허용문자 외 문자 입력 에러 발생

CREATE TABLE part_list (
      name VARCHAR2(20),
      location VARCHAR2(20)
)
PARTITION BY LIST(location) (
      PARTITION p_seoul VALUES ('SEOUL')
      TABLESPACE tbs_part06,
      PARTITION p_jeju VALUES ('JEJU', NULL)
      TABLESPACE tbs_part07
);


  • Partition key 의 값은 VALUES 절에 기술
  • 'VALUES'절에 들어갈 수 있는 값의 크기는 4k 까지 가능
  • Part_list 테이블 에는 'SEOUL', 'JEJU', NULL만 저장 가능


2.5. Composite Partition

  • Composite PartitionPartition의 Sub-Partitioning 을 말한다.
  • 큰 파티션에 대한 I/O 요청을 여러 partition으로 분산
  • Range Partitioning 할 수 있는 Column이 있지만, partitioning 결과 생성된 partition이 너무 커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없을 때 유용함


Composite Partition - Range Hash Partitioning

CREATE TABLE part_rh (
      empno NUMBER,
      empname VARCHAR2(20)
)
PARTITION BY RANGE (empno)
SUBPARTITION BY HASH (empname)
SUBPARTITIONS 4 STORE IN (tbs_part07, tbs_part08) (
      PARTITION comp_low VALUES LESS THAN (2000),
      PARTITION comp_hi VALUES LESS THAN (4000),
      PARTITION comp_max VALUES LESS THAN (MAXVALUE)
);


  • 생성하고자 하는 Sub-Partition의 수를 기술
  • 파티션의 수는 2의 제곱수 만큼 지정
  • Sub-partiton의 이름은 SYS_Pnnnn 형태로 자동 지정


Extended Composite Partition

  • Oracle 11g에서 처음 소개됨
  • 기존의 Range-Hash, Range-List 만으로 해결 불가능한 Partitioning에 대한 해법 제시

1. Range-Range : 두 개의 날짜 필드를 가지고 있을 때 유용할 수 있다.
2. List-Range : List Partitioning + 날짜필드를 이용한 sub-partitioning
3. List-Hash : List Partitioning 후 생성된 파티션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 Hash Partitioning을 이용하여 sub-partitioning을 하면 유용하다.
4. List-List : List Partitioning을 이용하여 파티션할 수 있는 Column이 2개 이상 있을 경우 유용하다.


2.6. Reference Partitioning

  • Oracle 11g에서 처음 소개됨
  • 부모 테이블의 Reference Key를 이용하여 자식테이블에 대해서 Partitioning을 수행한다


11g 이전의 문제
  • 부모테이블

CREATE TABLE customers (
   cust_id   NUMBER PRIMARY KEY,
   cust_name    VARCHAR2(200),
   rating    VARCHAR2(1) NOT NULL
)
PARTITION BY LIST (rating) (
   PARTITION pA VALUES ('A'), 
   PARTITION pB VALUES ('B')
);


  • 자식테이블

CREATE TABLE ref_sales (
   sales_id  NUMBER PRIMARY KEY,
   cust_id     NUMBER,
   sales_amt        NUMBER,
   CONSTRAINT  fk_sales_01
   FOREIGN KEY (cust_id)
   REFERENCES customers
); 


  • Partitioning issue..
    • 두 테이블을 같은 방식으로 Partitioning 하는 것이 제일 좋다.
    • 부모 테이블의 Partition key는 raiting, 자식테이블은??


  • Reference partitioning을 사용하여 해결!!

CREATE TABLE ref_sales (
  sales_id	NUMBER PRIMARY KEY,
  cust_id 	NUMBER NOT NULL,
  sales_amt 	NUMBER,
  CONSTRAINT FK_SALES_01
    FOREIGN KEY (cust_id)
    REFERENCES customers
)
PARTITION BY REFERENCE (fk_sales_01);


  • Partition 정의 시 foreign-key의 이름을 파티션 절에 기술
  • Reference Partitioning을 위해선 cust_id 컬럼에 NOT NULL 제약조건이 필수
  • 자식 테이블을 위해 긴 Partitioning절을 명시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2.6. Inerval Partitioning

  • Oracle 11g에서 처음 소개됨
  • Range Partitioning의 단점을 보완한 Partitioning기법으로, Partitioning Interval만 지정해 주면 Oracle이 자동으로 Partition을 생성해 준다.
  • 11g 이전의 range partition의 한계점

CREATE TABLE part_range (
      ymd DATE,
      empno NUMBER
)
PARTITION BY RANGE(ymd) (
      PARTITION p200906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7-01 00:00:00', 'yyyy-mm-dd hh24:mi:ss')),
      PARTITION p200907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8-01 00:00:00', 'yyyy-mm-dd hh24:mi:ss')),
      PARTITION p200908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9-01 00:00:00', 'yyyy-mm-dd hh24:mi:ss'))
);


  • 위의 테이블에 2009년 09월 데이터 가 들어간다면 에러 발생
    • ORA-14400: inserted partition key does not map to any partition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리자가 200909 partition을 생성 해 주어야 한다.


Interval Partition으로 문제 해결

CREATE TABLE part_interval (
      ymd DATE,
      empno NUMBER
)
PARTITION BY RANGE(ymd)
INTERVAL (NUMTOYMINTERVAL(1,'MONTH'))
STORE IN ('TBS_PART05', 'TBS_PART06') (
    PARTITION p200908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9-01 00:00:00', 'yyyy-mm-dd hh24:mi:ss'))
);


  • Partition 되는 간격을 설정
  • 추가적인 Partition 생성을 안 해줘도 된다.
  • 새로 생성되는 Partition의 이름은 SYS_Pnnnn 형태로 생성



SQL> select partition_name, high_value from user_tab_partitions  where table_name ='PART_INTERVAL';

PARTITION_NAME                 HIGH_VALUE
------------------------------ -------------------------------------------------------------
P200908                        TO_DATE(' 2009-09-01 00:00:00', 'SYYYY-MM-DD HH24:MI:SS', 'NLS_CALENDAR=GREGORIA


SQL> insert into part_interval values(to_date('2009-09-01 23:00:00', 'yyyy-mm-dd hh24:mi:ss'), 23);
1 row created.


SQL> select partition_name, high_value from user_tab_partitions  where table_name ='PART_INTERVAL';

PARTITION_NAME                 HIGH_VALUE
------------------------------ -------------------------------------------------------------
P200908                        TO_DATE(' 2009-09-01 00:00:00', 'SYYYY-MM-DD HH24:MI:SS', 'NLS_CALENDAR=GREGORIA
SYS_P11617                     TO_DATE(' 2009-10-01 00:00:00', 'SYYYY-MM-DD HH24:MI:SS', 'NLS_CALENDAR=GREGORIA



SQL> select * from part_interval partition for (to_date('2009-09-05', 'yyyy-mm-dd'));

YMD                      EMPNO
------------------- ----------
2009-09-01 23:00:00         22


  • Partition의 이름을 모를경우 FOR 절을 이용 , 해당 Partition을 참조 할 수 있다.
  • Partition을 TRUNCATE, DROP할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2.7. System Partitioning

  • Oracle 11g에서 처음 소개됨
  • 어떤 논리적인 방법으로도 Partitioning할 수 없는 테이블, Partitioning의 경계값이 모호한 경우 사용한다.
  • 파티션 별 데이터 분배는 사용자의 몫 이다.
  • 파티션 키나 경계값은 없다 .



CREATE TABLE part_sys (
    empname   VARCHAR2(20),
    account_no  NUMBER
)
    PARTITION BY SYSTEM (
       PARTITION P_EMPNAME
       TABLESPACE tbs_part07,
       PARTITION P_ACCOUNTNO
       TABLESPACE tbs_part08
);



SQL> insert into part_sys values('nalls76', 334299332);
insert into part_sys values('nalls76', 334299332)
            *
ERROR at line 1:
ORA-14701: partition-extended name or bind variable must be used for DMLs on tables
partitioned by the System method



SQL> insert into part_sys partition(p_empname) values('nalls76', null);

1 row created.

SQL> insert into part_sys partition(p_accountno) values('jsoem', 3429342938);

1 row created.


  • System Partition 은 다른 Partitioning과는 다르게 데이터의 경계값을 알 수 없다.
  • Data를 다루는 사람이 적절하게 데이터의 배분 을 해주어야 한다.


2.8. 파티셔닝 테이블의 유용한 기능


1. Query Performance
  • 불필요한 Partition에 대한 Access가 지양 ( Partition Pruning )
  • Partition wise join (서로 상응하는 Partition간 Parallel Join)


2. 대용량 데이터의 Sort 및 Grouping 작업의 용이
  • 필요한 Partition만 Main Memory에 load 함으로서 효율적인 Memory사용이 가능
  • Sort 작업 시 물리적 Temporary Segment 사용의 최소화 로 인한 수행속도 향상


3. Data 정리 (과거 Partition Drop or Exchange partition)
  • Partition Drop

SQL> ALTER TABLE PART_RANGE DROP PARTITION P200906;


  • Partition Exchange

SQL> ALTER TABLE PART_RANGE EXCHANGE PARTITION P200908 WITH TABLE EMP_EXCHANGE WITH VALIDATION;


4. 기존 Partition의 분할
  • PART_EMP 테이블에 P200905 파티션을 추가하여 P200906에 들어있는 5월 데이터를 P200905로 분할 해 낸다.
  • Partition Split은 Split 기준 값 보다 작은 값은 Into절의 좌측 파티션에, 큰 값은 오른쪽 파티션에 저장 된다.

SQL> ALTER TABLE PART_RANGE SPLIT PARTITION P200906
  2  AT(TO_DATE('2009-06-01 00:00:00', 'YYYY-MM-DD HH24:MI:SS'))
  3  INTO (PARTITION P200905, PARTITION P200906);

Table altered.


5. Partition 관리 Operations

 ALTER TABLE *ADD PARTITION*
 ALTER TABLE *DROP PARTITION*
 ALTER TABLE *EXCHANGE PARTITION*
 ALTER TABLE *MODIFY PARTITION*
 ALTER TABLE *MOVE PARTITION* \[PARALLEL\]
 ALTER TABLE *RENAME PARTITION*
 ALTER TABLE *SPLIT PARTITION* \[PARALLEL\]
 ALTER TABLE *MERGE PARTITION* \[PARALLEL\]
 ALTER TABLE *COALESCE PARTITION* \[PARALLEL\]
 ALTER TABLE *ANALYZE PARTITION*
 ALTER TABLE *TRUNCATE PARTITION*
 EXPORT / IMPORT \[*PARTITION*\]
 SQL*Loader \[DIRECT / PARALLEL\] \[*PARTITION*\]


2.9. Partition Table 관련 Dictionary View


3. 파티셔닝 인덱스

  • Index 는 Table과 마찬가지로 Partitioning이 가능
  • Partitioned Index 또는 Non-Partitioned Index는 Partitioned Table 또는 Non-Partitioned Table과 함께 사용 가능


3.1. Global or Local Partitioned Index

  • Global Partitioned IndexTable의 Partition 구조와 별개로 구성
  • Global Partitioned Index는 Non-Partitioned Table에 생성 가능
  • Local Partitioned Index는 Partitioned Table에만 생성 가능
  • Local Partitioned Index는 Table의 Partitioning 구조와 동일하게 Partitioning ( Partitioning Key에 의해 분할 됨)


3.2. Prefixed or Non-prefixed index

  • Prefixed index는 Partitioning Key와 Leading Index Key가 동일
  • Non-Prefixed Index는 Partitioning Key와 Leading Index Key가 동일하지 않다.


3.3. Index Partitioning의 종류

  • Partition Index는 Partition Key와 Partition 개수가 Partition Table과 동일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Local or Global Index로 구분 된다.
Partitioned Index의 종류
  • Global Index or Local Index
  • Prefixed index or Non-prefixed Index


허용되는 Partitioning 종류
  • Global Prefixed Index (Not equi-partitioned)
  • Local Prefixed Index (equi-partitioned)
  • Local Non-Prefixed Index (equi-partitioned)


Global Index
  • Range Partition, Hash Partition, Prefixed 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 하나의 인덱스 파티션이 여러(또는 모든) 테이블 파티션을 가리킬 수 있다.
  • 인덱스 파티션 수는 테이블 파티션 수와 다를 수 있다.
  • 테이블의 특정 Partition Drop시 Unusable 상태 가 된다.



CREATE TABLE part_global (
      ymd DATE,
      empno NUMBER
)
PARTITION BY RANGE(ymd) (
      PARTITION p200906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7-01 00:00:00', 'yyyy-mm-dd hh24:mi:ss')),
      PARTITION p200907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8-01 00:00:00', 'yyyy-mm-dd hh24:mi:ss')),
      PARTITION p200908 VALUES LESS THAN (to_date('2009-09-01 00:00:00', 'yyyy-mm-dd hh24:mi:ss'))
);


CREATE INDEX part_global_idx1 ON part_global (empno) 
    GLOBAL PARTITION BY RANGE (empno) (
        PARTITION p_part_global_idx1 VALUES LESS THAN (2000)
        TABLESPACE tbs_part03,
        PARTITION p_part_global_idx2 VALUES LESS THAN (MAXVALUE)
        TABLESPACE tbs_part04
);


Local Prefixed Index
  • Partitioned Table 에만 생성 가능
  • Index Key의 leading column과 Index의 Partition Key가 Partition Table과 동일 하다.



CREATE TABLE PART_LOCAL (
   rnum NUMBER, sword VARCHAR2(100)
) PARTITION BY RANGE (RNUM) (
   PARTITION P_RNUM1 VALUES LESS THAN(100) TABLESPACE tbs_part05,
   PARTITION P_RNUM2 VALUES LESS THAN(MAXVALUE) TABLESPACE tbs_part06
);

SQL> CREATE INDEX PART_LOCAL_IDX1 ON PART_LOCAL (RNUM)  LOCAL;

Index created.

CREATE INDEX PART_LOCAL_IDX1 ON PART_LOCAL (RNUM)
TABLESPACE tbs_part07
LOCAL (
   PARTITION P_LOCAL_IDX1,
   PARTITION P_LOCAL_IDX2 TABLESPACE tbs_part08
);


Local Non-Prefixed Index
  • Partitioned Table 에만 생성할 수 있다.
  • Table Partitioning Key와 Index Partitioning Key는 동일 하다.
  • Table partitioning Key와 Index Key는 틀리다.



CREATE TABLE PART_LOCAL_NP (
   rnum NUMBER, sword VARCHAR2(100)
) PARTITION BY RANGE (RNUM) (
   PARTITION P_RNUM1 VALUES LESS THAN(100) TABLESPACE tbs_part01,
   PARTITION P_RNUM2 VALUES LESS THAN(MAXVALUE) TABLESPACE tbs_part02
);

SQL> CREATE INDEX PART_LOCAL_NP_IDX1 ON PART_LOCAL_NP (SWORD) LOCAL;

Index created.


CREATE INDEX PART_LOCAL_NP_IDX2 ON PART_LOCAL_NP (SWORD)
TABLESPACE tbs_part02
LOCAL (
   PARTITION P_LOCAL_NP_IDX1,
   PARTITION P_LOCAL_NP_IDX2
);


3.4. Index Type and Partitioning


3.5. Index Partiton Status

  • Partitioned Table에 DML 발생 : Index에 자동 반영
  • Partitioned Table에 DDL 발생 : Index Unusable 상태
  • Local Index : 일반적으로 관련된 Partition만 Unusable 상태로 변경
  • Global Index : Index 전체가 Unusable 상태로 변경




Partitioned Index Rebuild

  • Partition Table에 DDL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Table에 있는 Index(Local/Global)에 Rebuild 작업을 수행해 주어야 한다.
  • 특정 Partition의 Index를 rebuild

SQL> ALTER INDEX PART_LOCAL_IDX1 REBUILD PARTITION P_LOCAL_IDX1;
Non-Partitioned Global Index의 rebuild
SQL> ALTER INDEX PART_GLOBAL_IDX1 REBUILD;

  • Partitioned Global Index의 경우 각각의 Partition에 대해서 Rebuild 해주어야 한다. Non-Partitioned Global Index와 같이 Rebuild할 경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 ORA-14086 : 분할 영역된 인덱스는 전체를 다시 만들 수 없습니다.


3.6. Index 관련 Data Dictionary Views


4. 상황에 따른 파티셔닝 기법의 선택

4.1. Partition 방식의 선정

  • 기본적인 업무 테이블 의 유형은 Master 성 테이블, Transaction 성격의 Table 그리고 Lookup 성격의 Table이 존재
  • Master 성 Table은 대부분 기간개념이 없지만 , Transaction Table기간 개념이 포함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 Master Table과 Transaction Table은 항상 연관관계가 있으며 Join Operation을 수반한다.
  • Partitioning 방식, Partitioning Key, Partition 개수 등을 일관성 있게 부여 함으로서 Query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 Master Table
  • Hash or List Partitioning 을 한다. Hash의 경우 특별한 구분 항목이 없는경우 사용하며, 균등한 데이터 분할을 위한 Partition Key 선정과 System이 고려된 Partition의 크기와 개수 선정이 중요하다.
  • List Partition의 경우 특정 항목에 의해 업무가 명확히 구분되어지는 성격의 테이블로서, 지역/부서 항목을 포함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2. Transaction or Summary Table
  • 기간 개념의 Table로서 Range or Range + Hash, Range + List 방식을 사용한다.


고려사항
  • Master and Transaction Table은 항상 연관관계가 있으므로 일관성 있는 Partition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 Master Table이 Hash 라면 Transaction Table은 Range+Hash, List 라면 Range+List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4.2. 업무 영역에 따른 Partition 구성


1. Staging / ODS (Operational Data Store) 영역
  • 원시데이터가 집적되는 곳 이므로 데이터 로딩을 고려해야 한다.
  • 테이블간의 조인 보다는 관리차원의 파티션 방안을 고려한다.
  • 기간별 관리측면의 Range 방식을 주로 사용 한다.
  • 만약 초기 데이터가 대용량 이라면 Hash 방식 을 사용하여 분할한다.
  • 동시작업 보다는 단계별 Bulk작업이 예상되므로, 단위 작업 시 작업 Session에 대한 충분한 메모리(sort area, hash join area)를 할당하여 작업한다.


2. 주제테이블 또는 Summary 테이블 영역 (DW / DM 영역)
  • 데이터의 가공, 변환, 생성에 따른 대용량 배치 작업이 예상, 이에 따른 데이터 정렬 및 Grouping 작업에서 사용자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Physical I/O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 하다.
  • 다양한 Query 및 대량의 정렬작업을 메모리에서 수용할 수 있는 파티션 방안이 필요하며, 병렬성을 고려한 파티션 크기 및 개수의 선정을 고려한다.
  • Master성 테이블은 Hash Partition 이 예상되며, 관련된 Transaction Table은 Range+Hash 방식으로 구성, Master Table의 Hash Partition의 개수와 상응하는 방식으로 Transaction Table을 구성하는것이 좋다.


4.3. Partition 개수의 선정

  • Range Partition의 경우 기간 정보에 의해 Partition이 결정 되지만, Hash Partition의 경우 설계자가 sub-partition의 개수를 정해야 한다. sub-partition의 개수는 관리 및 수행속도, 특히 대량의 작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60Gbyte Non-Partitioned Table이 있다고 가정, 이 테이블의 Sorting 작업을 위해선 테이블 크기에 상응하는 메모리가 필요
  • 이 경우, 메모리 에서는 일정량의 데이터만 처리가 가능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Temporary segment를 이용하게 되므로 빈번한 Disk I/O가 발생
  • 60Gbyte의 데이터가 1년치 데이터라 가정한다면, 월별 Partitioning을 했을 경우 5Gbyte의 Partition이 12개 존재 할 것이다.
  • Non Partitioned Table의 데이터 정렬을 위해선 총 60G의 데이터를 한번에 해결해야함 Partitioned Table은 데이터 정렬을 위해선 5G의 월단위 데이터의 12번 수행이 필요하다.


  • Partition의 수를 늘리면 단위 작업수는 증가하지만, 한번에 처리하는 데이터 양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 이 의미는, 대용량 테이블도 Disk Sort 없이 또는 최소화 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
    • 물리적인 Disk I/O 없이 메모리만을 사용하여 작업을 한다면 작업횟수와는 상관 없이 수행속도 측면에서나 Disk Storage 활용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 이 있다.
    • 업무적 특성에 따른 Partition 기준(Partition Key, Partitioning 방법)을 고려 하여
    • 대량의 작업을 메모리에서 소화할 수 있는 Partition 단위의 크기를 산정한 후 sub-partition의 개수를 결정
    • 결정된 Partition 개수는 Master Table과 Transaction Table과 동일하게 또는 일관성 있게 적용


4.4. Partition Key 선정


1. 성능향상 을 위한 고려
  • Data Access 방법에 대한 고려가 되어야 한다. (Index scan vs Full scan)
  • Data 분포도에 따른 Scan방법에 대해 고려 가 되어야 한다. (균등 vs 쏠림)
  • Data Access, Data 분포도에 따라 Partitioning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2. 데이터 관리 용이성 을 위한 고려
  • Data의 성격에 따라 Partitioning 되어야 한다.
  • 이력 데이터의 경우 생성주기 또는 소멸 주기가 Partition과 일치해야 한다.


4.5. 파티셔닝 방법의 선택 요약


1. Partitioning 대상 선정
  • 대량의 건수 및 크기를 보유한 테이블
  • 주기적인 데이터 정리(Purge) 또는 새로운 주기 별 데이터 Add가 필요한 테이블
  • 대량 데이터 정렬 및 Join이 자주 발생하는 테이블


2. Partitioning 방식의 선정


3. Partitioning Key 선정
  • Partitioning Type에 맞는 Key를 파악해야 한다.
  • Data Access, Data 분포도에 따라 Partitioning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 이력 데이터의 경우 생성주기 또는 소멸 주기가 Partition과 일치해야 한다.


4. Sub-Partitioning 결정

"구루비 데이터베이스 스터디모임" 에서 2009년에 "이펙티브 오라클" 도서를 스터디하면서 정리한 내용 입니다.

- 강좌 URL : http://www.gurubee.net/lecture/3469

- 구루비 강좌는 개인의 학습용으로만 사용 할 수 있으며, 다른 웹 페이지에 게재할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구루비 강좌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이나, 학원 홍보, 수익을 얻기 위한 용도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

댓글등록
SQL문을 포맷에 맞게(깔끔하게) 등록하려면 code() 버튼을 클릭하여 작성 하시면 됩니다.
로그인 사용자만 댓글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